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2-정치경제-1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창순(북한연구소 이사장)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5-31 ~ 1983-09-01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는 공산주의 이론에서 주장되는 것처럼 생산양식에 기초를 둔 하부구조의 반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것은 김일성 1인 지배체제 구축을 위해 조작된 통치이념으로 김일성 개인의 사이비 카리스마를 절대화하는 극단적인 권위주의적 정치문화 형성의 원천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김일성 개인의 사이비 카리스마적 권위조작이 고도의 조직적인 이데올로기적 주입과 강압을 통해서 북한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한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북한정치체제의 변화에 주된 관심을 집중하여 왔다. 그러나 분단 37년을 경과하면서 북한사회는 정치적 변화에 못지 않는 사회적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한 남북한 사회의 이질화 현상의 심화가 가속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고 보여진다. 특히 민족사의 후행을 강요하는 공산주의적 봉건왕조의 형성과 봉건적 신민관계의 강요는 우리의 민족사회를 단절시켜 파란으로 이끄는 원인 아닐 수 없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북한의 사회변화를 직접 분석, 평가할 수 있는 경험적 접근방법이 불가능하므로 북한의 주요 신문, 잡지 등 북한의 사회상이 노출될 수 있는 1차 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 분석방법을 원용한다. 다만 간접적인 방법이지만(임의적인 표본 추출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북한의 사회변화를 검증할 수 있는 귀순자의 증언 및 북한방문 인사들의 방문 기록 등을 광범위하게 활용하도록 한다.
연구 내용
북한 통치이데올로기의 북한사회체제에의 적응 양태를 분석하여 남북한 이질화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본 연구는 북한 통치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주체사상"이 제시하고 있는 "혁명화", "노동계급화", "공산주의화" 원리를 분석하고, 이를 북한사회에 적용시키기 위한 패러다임으로 제시한 "3대 혁명", 즉 "사상혁명", "기술혁명", "문화혁명"이 연출해내고 있는 인간개조, 자연개조, 사회개조의 실태를 분석 비판하고자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