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2-사회민속-1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한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1-01 ~ 1984-10-10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우리나라의 국민문화의 실상을 밝히기 위한 지표 연구에 1차적 목적이 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학술적 체계를 수립하는 Frame을 제시코자 하는데 최종적 목적이 있다. 국민문화의 문화적 토대가 되는 국민문화는 보편적 일반 문화와는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문화의 이념적 모형을 이론적으로 구성하는 연구를 선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4개 연구영역으로 나누어 연구하면서 국민문화의 이념적 모형을 구성하게 된다. 이념적 모형이 구성되면 이 모형을 구성하는 구체적 항목을 선정하여 국민문화의 실상을 도출하게 된다. 끝으로 이렇게 구성된 국민문화의 이념적 모형의 타당성과 우리나라 국민문화의 실현수준을 조사를 통해 검증한다.
연구 배경
국민문화의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고 그 모형에 입각하여 현재의 문화실상을 측정하려는 연구이다. 그러므로 관계되는 학술이론과 역사자료 및 현지조사자료가 동원되어야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와 현지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내용
국민국가의 내용이 되는 국민문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전제가 되는 국민문화의 이론적 모형이 이론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동시에 이 모형에 입각하여 우리나라의 국민문화의 현실태가 밝혀야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개요
이러한 계획 하에 국민문화를 국민문화의 4 영역(개인, 가족, 사회, 국가)에서 전개되는 일상생활에서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다는 점과, 또 이 4 영역을 연관을 통해 국민문화가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파악하여, 이 4 영역에 대한 가구주, 주부, 미혼자들의 의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제시했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