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2-사회민속-12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화합을 위한 테레비(TV)의 역할
  • 영문 : -
연구책임자 오택섭(고려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31 ~ 1983-08-17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대중매체의 정보 환경은 수용자의 실사회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사회화에 커다란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기능에 비추어 볼 때 한국의 대중매체 세계는 어떠하며 또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가? 이를 Media에 나타난 사회적 고정관념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특정 대상이나 실체에 대한 T.V.의 묘사는 시청자에게 T.V.적 성향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가정으로 하여, 한국 T.V. 드라마에 나타나는 사회적 Stereotype의 유형 및 빈도를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배경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인지적 차원(Cognitive Dimensim)에서 볼 때 대중매체라는 정보환경은 수용자들이 대중매체에서 제시한대로 실세계를 인식하게 한다는 Agenda Setting 이론에 바탕을 둔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약 6개월 동안 방영되는 각 채널의 TV 드라마와 신문 소설에 등장하는 각 인물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Stereo-typing의 유형과 빈도를 파악한다.

 각 분석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원생이 주축이 된 그 개조 분석조(Two Pair Double Coder)를 운용하며 결과는 컴퓨터에 의해 전산처리된다.

 

연구 내용

 

 대중매체에 의한 Stereo-typing을 분석키 위해 TV의 Drama와 신문의 Fiction물을 대상으로 체계적 분석을 시도하는 데 본 연구는 우선 올바른 분석기준을 설정한다는 데 1차 목표를 두고, 이를 실재에 적용함으로써 연구를 끝맺는다. 외국의 연구결과를 고려한다면 한국의 수용자들도 대중매체의 세계대로 실사회를 인식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본 연구는 성(性), 연령, 직업, 가정에서의 역할에 따른 T.V. 드라마의 Stereotype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은 전통적인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연령에서는 20대, 30대 등장인물들이 등장빈도 및 묘사에 있어서 긍정적, 직업에서는 전문직 종사자, 가정에서는 윗사람들이 지배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