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2-사회민속-10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최신덕(이화여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5-31 ~ 1983-09-02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농촌 출신 근로여성들을 산업역군으로서의 경제적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들의 수입으로 농촌 본가의 경제를 돕는 등 이중적 경제 기여를 한다고 가정하고, 이의 실패를 조사, 파악하며 이러한 이중적 경제 기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근로여성들의 문제점을 분석,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1960년대초 이래의 산업화 정책으로 여성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생산직에 종사하는 저연령층 여성근로자의 비중은 크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 비율은 빈한한 농가출신으로서 그들 수입을 농촌 본가를 위해 송금하는 현상이 그간의 가족연구나 농촌여성 연구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이러한 근로여성의 이중적 경제기여와 관련하여 농촌본가에의 효과나 근로여성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은 분석되지 않고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기존자료나 통계를 수집 분석하여 일반적 현황을 파악한다. 2. 산업체를 선정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수입과 지출 패턴을 파악하고 농촌본가를 위한 협조 상황을 파악한다. 3. 사례 연구 방법을 병용하여 산업체의 근로여성, 가정부 등의 자유직업 여성의 농촌 본가의 가족 및 부모를 위해 경제적으로 돕고있는 상황을 사회학적 및 인류학적 심층 연구를 통해 파악한다.
연구 내용
1. 농촌 출신 근로여성들의 직장생활 실태를 개괄하는 특히 그들의 수입과 지출관리 면을 파악한다. 2. 그들의 농촌 본가를 위한 경제적 협조 방법과 그 정도를 파악한다. 3. 농촌 가족, 특히 부모들의 수용태세와 경제적 효과를 파악한다. 4. 근로여성들이 경제적 이중기여를 하는 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파악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개요
농촌 출신 근로여성들은 송금, 학비 보조 등의 형태로 출신 능가에 경제적 기여를 하고 있다. 그들의 이촌 시의 꿈은 진학이 대부분이었으나 여건의 미비로 진학은 거의 불가능하며, 또 저임금을 받으면서 농가에 송금을 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발전을 위한 계획이나 기회를 잃고 만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