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2-사회민속-3-다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행위준거로서의 집과 국가에 관한 연구 - 다. 집과 국가를 매개하는 생활의 장에 관한 연구 (한국 농촌부락의 공동체적 성격)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한초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4-29 ~ 1984-07-14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행위준거로서의 집과 국가 사이에는 여러가지 중간 단계의 매개체가 있다. 이들 매개체는 일상생활의 장으로서 행위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들 중간단계의 매개체가 종류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데 본 연구과제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한국인은 집에 대한 귀속의식이 대단히 강하다. 또한 전통적으로 연고결합도 강하다. 그러나 국가에 대해서는 충이라고 하는 상징적 덕목으로 Identify되기는 했지만 일상적인 생활가치로서 국가 행위준거로 작용하진 않았다. 이처럼 효(孝)와 신(信)과 충(忠)의 덕목은 옛날에도 있었고 오늘날에도 있다. 오늘날의 상황에서 이것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도 밝혀볼만 하다.

 전적과 사례와 실태를 함께 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전적과 사례의 조사와 분석방법

2. 실태조사에 의한 자료분석과 해석방법

 

연구 내용

 

 집은 개인이 속하는 구체적인 실체이고 국가는 개인이 타인과 더불어 속하는 총체적인 실체이다. 그런데 이 두 실체를 공동체로 보게 되는데 개인이 국가 공동체에 속하는 양태는 집 공동체와는 달라서 국가의 하위체계인 여러가지를 제도를 통해서 귀속된다. 그리고 제도 역시 그 제도 하에서 생겨난 집단과 조직을 생활의 장으로 개인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집과 국가의 중간단계의 집단과 조직이 어떻게 한국인의 행위준거로서 집과 국가에 연관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집은 개인이 속하는 구체적 실체이고 국가는 개인이 타인과 더불어 속하는 총체적 실체이다. 그런데 이 두 실체를 공동체로 보게 되는데, 개인이 국가공동체에 속하는 양태는 집공동체와는 달라서 국가의 하위체계인 여러가지 제도를 통해서 귀속된다. 그리고 제도 역시 그 제도 하에서 생겨난 집단과 조직이 어떻게 한국인의 행위준거로서 집과 국가에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그 관계를 조명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에 관한 첫 시도로 한국 농촌부락의 공동체적 성격을 규명해 보았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