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2-사회민속-6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전병재(연세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4-29 ~ 1983-11-07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우리나라 사회과학계가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맑스의 사상을 어떤 자세로 취급해야 하는냐 하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1) 맑스의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시도해 보고, 2) 맑스의 사상이 우리 사회역사적 조건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연구 배경
외국에서는 맑스 사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많은데 비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그렇게 많지 않은 실정이다. 맑스 사상의 내용 파악을 위해서는 맑스 자신의 저서들을 부차적으로 고려할 생각이다. 이 연구에서 특히 검토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여태까지 소개된 맑스에 관한 문헌과 내용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 1) 맑스의 주요 저서들 검토분석 2) 맑스에 관련되는 연구서적들 검토 3) 우리나라에서 나온 맑스에 관한 글들의 내용 분석
연구 내용
1) 맑스 사상의 내용을 연대기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친 제반 요인을 검토해 본다. 2) 맑스주의 사상의 일반적 경향을 지식사회학적으로 검토해보고 이러한 경향에 대한 학적인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핀다. 3) 맑스 사상이 갖고 있는 제반 요소가 우리사회의 역사적 해설에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개요
마르크시즘과 볼쉐비즘의 차이를 따져본 후에 우리나라에 마르크시즘이 들어온 것은 볼쉐비즘으로 이념화된 것이고, 과학으로서의 마르크시즘은 1960년대 이후 수입되기 시작했다는 결론.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