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2-사회민속-3-라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행위준거로서의 집과 국가에 관한 연구 - 라. 행위준거로서의 집공동체와 국가공동체에 관한 연구 (집공동체와 국가공동체의 상이성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한상진(서울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4-29 ~ 1983-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의 기본구조를 이루고 있는 집과 국가에 관한 집합의식이 우리 사회에서 형성된 과정과 이를 따라 부각되어져 온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적자면, 집과 국가가 개념으로서, 또 실제적인 행위체계로서 한국인의 의식구조 안에서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이 어떠한 상황과 맥락에서 갈등적이 되는가, 그리고 금후의 바람직스러은 가치관의 확립을 위해 어떤 고려가 필요한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집 공동체와 국가 공동체가 행위의 준거틀로서 어떻게 작용, 변천해 왔는가를 역사적, 사회학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내용

 

 자료는 다른 연구원들과의 공동협조하에 선택되어 다루어질 것이나, 기본적으로 구조주의적 언어분석의 관점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자원을 주로 선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M.Foucault와 H. Habermas의 규범의식의 구조적 분석을 사용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 집과 국가에 관한 집합의식이 역사적으로 구성되어온 과정과 특성을 재구성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재구성적 방법론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내용

 

① 집에 관한 기초규범과 국가에 대한 기초규범은 농업중심의 단순사회에서는 비교적 기능적으로 조화되는 경향이 있다.

② 그러나 국가의 기능이 대폭 강화되면서 이 두 가지의 기본적인 규범 사이에 갈등적인 야기될 수 있다.

③ 따라서 사회변동과정에서 이 현상을 여하히 조정하느냐가 문제의 핵심이 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역사적으로 집이 수행했던 정치적·경제적·교육적·통제적 기능들이 분화·독립되어 분리되거나 급속히 쇠퇴한 반면, 국가의 기능은 특히 지난 20여년에 걸쳐 각 부문에 급속히 확대되는 과정을 밟았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