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2-사회민속-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한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4-29 ~ 1983-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한국인의 준거행위로서의 집과 국가는 전통사회에서도 근대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집과 국가는 공동체로 이해되는데 한국인이 이 두 공동체에 귀속하며 행위준거가 되는 양태는 같을 수 없다. 그리고 집과 국가는 여러가지 집단과 조직이 있는데 이들 집단과 조직은 국가사회의 어떤 구조를 이루는 요소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관의미를 밝히려 하는 것이다.
연구 배경
집과 국가는 인간의 행위준거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집과 국가에 있어 옛날부터 이 문제에 관한 논의와 연구 또한 적지 않다. 이것을 우리나라의 현상황을 상태로 검토하려는데 본 연구의 배경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헌연구 2. 실태조사
연구 내용
집과 국가의 의미는 시대와 사회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면서 한국인의 행위준거로 영향을 미치는 양태도 달라진다. 즉 사회의 구조적 특질에 따라 집과 국가가 지니는 의의가 달라지는데 전통사회와 근대사회가 전형적인 예가 되는데 문헌 연구와 실태조사로 우리나라의 집과 국가의 속성을 분석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구성내용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