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2-사회민속-2-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문웅(서울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4-29 ~ 1985-10-07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지난 20여년간 우리 사회는 역사상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급속한 공업화를 경험했고, 이 과정에서 도시의 공업분야는 농촌 지역으로부터 막대한 인력을 흡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농촌 지역으로부터 이주해와서 공업 분야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생활양식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양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농촌 출신의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근로자의 생활양식 및 직업 적응의 양식을 파악하는 것은 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배경
도시로의 인구집중은 농업분야에서의 이농현상에 따른 영농인구의 감소라는 부수적인 현상을 수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흥 공업 도시의 교외에 위치한 한 마을을 택하여 도시 인구 집중과 이농현상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현장에서, 외지에서 이주해 들어온 근로자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양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는 가구조사를 통해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관련된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헌조사; 연구 주제와 관련된 분야에서 한국사회 전반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업적들과 연구대상 지역에 관련된 문헌 조사. 2. 조사대상 지역 주민들의 가구 조사. 3. 면접조사 4. 참여관찰
연구 내용
1. 근로자들이 이주해온 배경; 출신지, 경제적인 배경 2. 가족 및 친족 관계 (가구조사) 3. 생활 정도; 이전의 농촌 생활과의 차이 4. 친족원들과의 관계; 고향의 친지들과의 접촉 5. 주거 생활; 토착 마을 사람들과의 접촉 관계 6. 근로자 가족의 의례 생활 7. 직장 생활에서 적응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개요
외지인 근로자들은 현지적응에서 토착민들과는 거의 접촉이 없이 상이한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 그들의 현지적응에는 제 2차 집단인 자의결사단체들이 효과적인 적응전략으로 동원되고 있었다. 이것이 곧 신흥공업 도시에 결사단체들이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