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2-어문-8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사회발전과 신조어의 변천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문강(고려대)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31 ~ 1983-12-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의 공업화는 급격한 사회 변천을 가져왔다.

 표면상에 나타나는 이 사회 변화는 언어(무의식) 차원에서도 비슷한 변화를 가져왔다. 말은 사람의 마음을 나타내는 거울이라면, 최근에 이러한 한국 신조어는 한국사회의 변동을 나타내준다. 언어는 철학자, 심리학자만이 연구해왔다면 인류학과 언어학의 최신학설은 이러한 연구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언어 인류학계의 방법을 한국사회에 적용하고자 함.

 

연구 배경

 

- 1750년, '인간의 기원론'에서 인간 사회의 발달에 따라 언어도 원시사회에서 근대사회에 변화하는 중. 비논리적 본능적 감정 표현으로부터 논리적 문법적 문장을 구사한다고 했다.

- 소련 언어학자는 프로레타리아 노동혁명에 참여한 노동자 언어는 소련의 노동자 언어와 비슷하다고 가설했다. 과연 이런 학설은 타당성이 있는가.

- 최근 불란서 언어학에 이들을 비판, 새로운 사회언어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학설의 정리

과거에 연구된 인류언어학의 결과를 총정리하여 한국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을 추출한다.

- 상기 학설의 한국 신조어에 적용가능 타당성을 고려하여 분석에 착수한다.

- 자료 해방 이후의 신문, 잡지, 보도기관에 나타난 신조어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 내용

 

- 해방 후 한국 사회는 해방기(한국전쟁 전)와 한국 전쟁 후기, 공업화에 도약의 3기로 나눌 수 있다.

- 이 3기의 특수한 역사 사회적 변화도 이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 논문은 "한국어의 변천"을 연구함이 아니라 그 일부인 "신조어"의 변화만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