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2-어문-7
연구과제명
  • 국문 : 가사문학에 나타난 근대적 의식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재호(고려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31 ~ 1983-12-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1. 근대란 개념이 무엇인가를 밝혀 근대 및 근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게 한다.

2. 동양에서의 근대는 서구의 충격에 의하여 비롯되었다는 견해를 비판하고 근대화를 위한 우리의 주체적 노력이 무엇이었던가를 밝혀 본다.

3. 근대의 싹을 사회경제사적인 측면이 아니라 가사문학을 통하여 문학사적인 입장에서 그 양상을 밝혀 본다.

 

연구 내용

 

1. 지금까지 우리 역사에서 근대적 성격을 찾으려는 노력은 사회경제사적 입장에서 여러 연구가 있었다. 그리하여 자본주의의 맹아를 찾기 위하여 17c 이후 자본형성 과정, 상공업의 구조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2. 문학이 당대의 현실을 생생하게 반영한다고 할 때 문학작품을 통한 근대적 성격 고찰은 한국 근대연구에 활기를 띨 수 있다고 생각되나 이 방면의 연구는 흔하지 않다.

3.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사에 나타난 근대적 성격을 집중적으로 고찰하려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가 주가 된다.

2. 지금까지의 한국 근대에 관한 역사학, 경제학, 정치학, 문학 등에서 분야의 연구성과를 검토한다.

3. 17세기 이후 20세기 초까지의 가사문학 작품을 수집한다.

4. 수집된 가사작품의 분석 및 근대적 성격의 추출 해석을 시도한다.

5. 분석된 자료의 정리로 주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연구 내용

 

1. 역사학의 연구 업적을 바탕으로 하여 주로 가사에 나타난 근대적 성격을 집중적으로 고찰하려 한다.

2. 예상되는 연구 내용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서론

2) 근대의 개념

3) 가사에 나타난 근대적 성격

(1) 집권층의 착취에 대한 비판

(2) 인간 평등의 주장

(3) 주자학적 윤리에 대한 저항

(4) 여성의 인권 존중

(5) 우리말에 대한 존중

(6) 외세에 대한 저항과 비판

(7) 문학 담당층의 대중화

(8) 경제관의 변화

(9) 기타

4) 결언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