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2-어문-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어 경어체계의 분석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정민(서울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31 ~ 1983-12-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어의 어형에 나타나는 복잡한 경어체계는 복잡한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보아, 경어체계의 화계나 주어(또는 객어) 높임의 선택과 연령·친소·유대관계 및 지위·직급·친척여부 등의 사회적 요인과의 관계를 여러 가능한 경우에 걸쳐 조사해 봄으로써, 경어 선택에 작용하는 요인의 우선순위를 살피고, 격식·비격식 등의 상황에 따른 전이(switching) 가능성의 폭을 알아보는 등 경어 사용의 객관적인 현실을 충실히 기술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배경

 

 변형생성문법과 화용론에서의 경어체계 분석을 검토하고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새로이 시도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한국어 경어 체계의 화계(speech level)와 주어(및 객어)의 높임의 선택과 사회적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면접 및 질의서 조사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연령·친소·유대 및 지위·직급·친척관계 등 사회적 요인을 고려에 넣고, 조사대상 집단을 여러사회 계층과 연령층에 걸쳐 잡음으로써 이를 집단에 따른 차이도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연령별 집단에 대한 조사로 경어체계 변화의 추세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나, 변화보다는 공시적 연구에 주력하며, 상황에 따른 전이도 분석한다.

 

연구 배경

 

 약간의 문헌연구와 참여관찰을 포함하나, 설문에 따른 사회조사를 주축으로 삼고자 한다.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관계에 비추어 듣는 이와 제3자에 대한 높임·낮춤의 선택이 예상되는 범위 내에서 어느 쪽으로 선호되는가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면접·참여관찰을 통해서는 높임말 선택의 사회심리적 동기 등을 캐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