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2-어문-1-나
연구과제명
  • 국문 : 전국방언조사연구 - 나. 방언 현지조사 결과의 교열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충회
공동연구자
  • 이익섭 / 서울대학교 /
  • 이병근 / 서울대학교 /
  • 정광현 / 단국대학교 /
  • 최명옥 / 영남대학교 /
연구기간 1978-06-01 ~ 1989-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1) 사라져가는 방언자료의 수집 보존으로 후세를 위한 증언 자료를 남긴다.

(2) 방언의 지리적 분포·방언특징 등에 대한 실증적 인식으로 일천한 한국 방언학의 수준을 끌어 올린다.

(3) 역사적 문헌자료의 결핍을 보충해주는 귀중한 언어자료의 수집으로, 국어사 연구에 크게 기여한다.

(4) 궁극적으로 「한국어대사전」 편찬의 기초를 마련하며, 그 성과는 국어정책 수정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한다.

 

연구 배경

 

(1) 과거의 방언조사연구가 개별적으로 행해졌기 때문에, 이웃 방언과의 비교가 불가능했고, 따라서 개별방언의 언어 특징에 대한 기술적 연구의 영역 밖에 미치지 못했음에 비추어, 본 조사연구는 통일된 기준에 의한 전국 규모의 방언조사로 방언간의 비교를 통한 국어사, 한국어의 공용구조의 해명 및 일반원리의 탐구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임.

(2) 현재까지 간행된 국내외 방언관계자료가 광범위하게 이용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본 어문연구실 간행 「한국방언조사질문지」에 의한 조사원의 전국 140개 지점의 현지 방언 조사 실시

(2) 현지 조사 자료의 정리·분석연구에 따른 방언 특징의 구명

 

연구 내용

 

(1) 현지조사(미조사지역 조사/ 복수 조사/ 재조사) 약 32개 지점 예정

• 조사원(원내): 20지점 예정

• 조사위원(원외): 12지점 예정

(2) 방언조사 자료 정리 및 교열: 약 30개 지점 예정

(3) 방언 특징의 구명 - 방언 조사 보고서 '방언'지 간행

(4) 조사된 자료를 정리 분석하여 앞으로 「한국언어지도」를 작성 간행한다.

(5) 방언 자료집 및 사전은 편찬 간행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