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2-역사-3-라
연구과제명
  • 국문 : 세종조 문화의 현대사적 재인식 - 라. 세종대 천문학의 의의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성래(외국어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04 ~ 1982-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조선왕조의 초기, 특히 세종대(1418-1450)를 중심으로 문물이 크게 발달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중에도 과학 분야의 발달, 특히 천문학의 일어남은 인상적이다. 이 분야만을 깊이있게 다루어 당시의 자연관과 사상 체계 전반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를 이해해 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세종대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는 개략적인 연구가 적지 않다. 그러나 천문학 중심으로만 본격적인 논문이 시도된 일은 없다. 특히 실록의 기록을 전부 참고하여 분석하고 종합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되 햇시계와 물시계 등의 후대 유물 및 경복궁 등이 참고로 고려될 것이다.

 문헌은 주로 세종실록에 나타난 기록 중 관련된 것은 모두 이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그 밖의 기록은 보조적인 사료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연구 내용

 

 세종대의 우리 선조들이 갖고있던 자연관과 그 가운데 천문사상을 자리 정해 줌으로써 그 배경 속에 발달을 이해한다. 당시의 천문학 발달은 그냥 천문학 발달이 아닌 정치적인 의의를 가진 행동이었다는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