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2-역사-3-가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강신항(성균관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5-04 ~ 1982-12-31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는 우리나라 문화사상 획기적인 사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세종조의 어문정책에 관한 연구는 소홀히 다루어져 왔음. 이에 세종시대의 어문정책에 관하여 문화사적, 문자사적, 국어정책적인 면에서 종합적으로 고찰코자 함.
연구 배경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게 된 동기, 그 학문적 배경, 이웃 민족들의 언어정책과 문자에서 받은 영향, 훈민정음 창제와 함께 진행시켰던 한자음 개선사업 등에 관해서는 이미 몇 편의 연구가 나와있음. 이들 자료를 참고로 하고, 조선 왕조 실록, 훈민정음 창제시절의 각종 문헌을 기본자료로 이용코자 함.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여러 문헌에서 관계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와 관련되는 이웃민족들의 어문정책에 관한 문헌도 참고로 하며, 훈민정음 창제에 크나큰 영향을 주었던 중 국음운학 및 성리학과의 관계도 아울러 살핌.
연구 내용
세종조 어문사상의 형성과정, 이를 바탕으로 해서 수행된 훈민정음 창제 사업, 이와 함께 병행되었던 한자음 개선 사업 등을 세밀히 고찰하고, 훈민정음 창제 후 수행된 여러가지 어문정책의 성패를 분석하여 그 원인과 오늘날의 우리에게 주는 교훈, 우리가 앞으로 밀고나갈 어문정책의 방향 등을 생각해보고자 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