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3-교육윤리-3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정신교육 교재분석 평가(장)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계학(동덕여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 이초식 / 고려대학교 /
  • 허범 / 성균관대학교 /
  • 이용환 / 서울대학교 /
  • 박인희 / 본원 /
연구기간 1983-05-01 ~ 1983-11-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국민정신교육 기본 지침서의 발간과 보급을 계기로 동 지침서에 의거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국민정신교육의 실시를 위한 교재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차제에 국민정신교육용 교재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분야별·대상별로 각종 국민정신교육을 위한 효율성 있는 교재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 배경

 

 국가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국민정신의 과제들을 해결하고 국민의 화합을 이룩하려는 노력이 부분적·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통감하고 이러한 노력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국민정신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한국정신문화원은 그 기본지침서를 처음으로 마련하였다. 이러한 지침에 따라 국민정신교육기관은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교재를 개발할 단계에 있다. 그러나 현행의 국민정신 교육용 교재는 분야별로 또는 단편적으로 학계의 관심받아 연구되었을 뿐 교재 내용을 주제로 한 총체적인 연구는 없었다. 그러므로 국민정신교육용 교재 내용을 분석 평가하게 될 본 연구는 그 의의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연구의 성격상 문헌연구가 주가 되며 현행의 국민정신교육용 교재를 최대한으로 수집하고 대상별로 분류하고 국민정신교육 지침의 교육목표별 내용영역과 영역별 내용구성을 근간으로 한 분석의 틀을 구안하여 확정한다. 다음으로 분야별 전문가들에 의하여 교재 내용을 질적·양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한다.

 

연구 내용

 

 국민정신교육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행의 각종 교재를 대상으로 하며 국민정신교육의 목표에 따른 내용역역과 영역별 내용 구성 기준에서 의거하여 분석·평가한다. 이 때 사용될 분석 및 평가 기준은 국민정신교육 기본 지침서의 국민정신 교육목표에 따른 내용영역과 영역별 내용기준을 근간으로 한다. 그리고 분석·평가의 실제에 있어서는 해당분야의 전문가가 이를 대상별로 분석하고 평가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