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3-교육윤리-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경동(서울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01 ~ 1983-11-30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민족과 국가의 존속, 번영을 위해 국민의 기본 가치관의 형성과 실천을 위한 태도 함양을 위한 국민정신 교육이 현재 시대적 요청으로 범국민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가 크게 활용되고 있음은 이들 매체의 기능과 역할을 감안할 때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이들 매체는 전통적 교육매체와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고 이런 특성을 고려한 교육목표의 설정, 교육방법의 강구 등이 필요하다. 아직까지는 이런 점을 감안한 노력보다는 직관적이고 비 체계적인 방법으로 이들 매체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교육의 효율적 성과 지양을 위해 그 기초작업으로서 라디와와 TV를 통한 정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평가하여 정책 수립의 기본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연구 배경
종래의 국민교육은 도덕교육, 인간교육, 민주시민교육, 안보교육, 새마을 교육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분적, 산발적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정신문화연구원은 최근 이를 국민정신교육이란 상위 개념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는 정신교육에 일관성과 체계성을 이룩하려는 최초의 조직적 노력이며 개념 및 철학의 정립이라는 제일차적 기초작업이었다. 이에 뒤이어 필요한 작업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신교육의 내용과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교육주제의 적성성, 교육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장래의 계획을 입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정문연의 지침서를 기준으로 하여 현행 정신교육의 실태를 분석 파악하는 제이차 작업적 성격과 배경을 갖고있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여 실제 TV 및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코자 함. 구체적으로는 라디오, TV, 각 3개 채널, 총 6개의 방송 채널을 선정하여 6개월 동안 방송된 프로를 대상으로 드라마, 코미디, 청소년 프로, 기획물의 4개 유목의 프로에 따라 각각 20편의 프로를 확률표집을 통하여 표본 추출하고 이들의 주제 및 방향분석을 행할 것임. 추출된 표본 프로그램은 녹음, 녹화하고 7인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코딩을 실시한 후 컴퓨터에 입력되어 기술 및 추리 통제 처리될 것임.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대중매체 중 특히 라디오와 TV를 통해 실시되는 경제 발전과 경제 생활 윤리, 현대사회와 공동생활 및 사회질서와 준법생활의 3개 영역의 정신교육 실태를 분석 평가할 것임. 이들 3개 영역은 각각 5개의 교육목표에 따라 주제별로 나누어 주제별 교육빈도, 역점의 정도 및 방향과 교육 접근 방법 등 3개 차원에 따라 분석될 것임. 즉, 방송에 반영되는 정신교육의 총 빈도 및 역점을 파악하고 자료제시 방법, 소구 방법 등을 분석하여 현행 정신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실시할 것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