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3-교육윤리-2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정신교육 기초자료를 위한 국민의식 진단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헌규(동국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 정용길 / 동국대학교 /
  • 최상진 / 중앙대학교 /
  • 박용헌 / 서울대학교 /
  • 정성모 / 본원 /
연구기간 1983-05-01 ~ 1983-11-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국민문화를 선진화하고, 국민정신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대상자로서 국민들이 현재 지니고 있는 전반적인 국민의식의 내용과 수준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민정신교육의 이념과 목적에 비추어 우리 국민들의 전반적인 의식내용과 수준을 조사함으로써 국가 수준에서의 장기적이고도 종합적인 국민정신교육의 방향정립과 정책 수행, 그리고 교육과정 및 각종 국민정신교육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지금까지 수행되었던 국민의식 관계 각종 조사 연구는 대체로 특정한 영역 또는 의식내용과 관련하여 단편적으로 수행되어 왔거나, 또는 특정한 집단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온 경향이 많았다.

 본 연구는 각종 참고문헌과 기존의 조사연구 결과 등을 검토·분석하여 국민의식의 개념과 연구를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국민의식을 보다 포괄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도구(질문서)를 제작,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현재 우리 국민의 의식수준 및 내용을 진단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문헌 분석

• 참고문헌, 기타자료 수집 및 내용 분석

• 연구를 위한 개념 모형 개발

2. 질문서 조사

•  도구(질문서) 제작

• 조사대상자 선정 및 질문지 조사 실시

• 조사결과 통계 분석

 

연구 내용

 

1. 국민의식의 개념 및 연구를 위한 개념 모형의 탐색

2. 국민의식의 내용과 의식과정(또는 의식수준)의  일반적인 특징

3. 국민의식 내용 및 수준의 집단별(배경 변인별) 차이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