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3-교육윤리-1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문화 선진화를 위한 좌표정립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한영환(중앙대 교수)
공동연구자
  • 최정호 / 연세대학교 /
  • 박민자 / 덕성여자대학교 /
  • 김영걸 / 과학원 /
  • 장일조 / 본원 /
  • 이돈희 / 본원 /
  • 유완빈 / 본원 /
  • 유광호 / 본원 /
연구기간 1983-05-01 ~ 1983-11-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가치로운 국민문화의 형성과 수준의 향상은 그 성격상 국가적인 차원의 장기적이고도 종합적인 정책수립과 합리적인 정책운영 과정을 필요로 하며, 이는 학교 교육을 포함한 합리적이고도 통합적인 국민교육을 통해 보다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문화 선진화의 문제와 관련하여 국민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국민문화 선진화의 방향과 선진화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여기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이 무엇인가를 종합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국민문화가 무엇이며, 선진화된 상태의 국민문화 수준이 어떤 것인가를 판단하는데 고려해야 할 문화의 영역은 그 영역에 포함되는 문화 내용이 무엇인가에 따라 여러가지로 범주화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각각의 문화영역에서 선진화된 상태를 판정하는 수준 또한 다양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각종 참고문헌의 분석과 연구자의 공동협의 및 자원인사와의 연구세미나를 통해 국민문화 선진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문화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문헌연구 및 연구 세미나 개최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국민문화의 개념과 국민문화의 영역 분류 및 그 기준을 밝히고, 연구진의 공동 토론 및 연구발표회를 통하여 이론적 쟁점에 관하여 보다 폭넓은 합의를 도모하고, 자원인사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국민문화 선진화 좌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표화하는 방안을 협의하도록 한다.

 

연구 내용

 

1. 국민문화 선진화의 개념 정립

2. 국민문화의 제영역 분류 및 분류 기준의 탐색

3. 국민문화 선진화를 위한 좌표의 설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