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국민윤리-3-다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윤리학 정립과 발전에 관한 연구 - 개인과 국가: 다. 국가발전에 있어서의 중간집단의 역할
  • 영문 : -
연구책임자 유영준(인하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6-01 ~ 1985-08-05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1) 국가발전을 무엇으로 정의하든지간에, 그러한 정책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서는 그 사회의 개인, 특히 중간 집단의 적극적 역할 없이는 발전을 이룩하기 어렵다.

2)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국가발전에 있어서의 중간 집단의 역할을 심도있게 분석해보고, 특히 대한민국 제 1·2·3·4·5공화국에 있어서의 정당·이익집단·지역집단의 성격과 그들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조명해본다.

 

연구 배경

 

1) 국가발전의 유형과 그에 있어서의 중간집단의 역할을 상관관계적으로 분석한 일반론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2) 더욱이 한국적인 특수상황에서의 과거의 고찰은 단편적이다.

3) 우선 발전론적 차원에서 국내외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국가발전의 일반적 유형을 찾고, 역시 문헌 및 사례 연구 등에서 중간집단의 역할을 찾아내며, 한국의 경우에 조명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문헌조사 (Literature Survey)

① 국내외의 문헌을 통하여 국가발전의 정의·유형 등을 알아내며,

② 역시 문헌조사로 중간집단의 개념·종류 및 역할을 알아본다.

2) 경험적 접근법 (Empirical Approach)

국가발전에 있어서의 중간집단의 역할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찾아낸다.

3) 규범적 접근법 (Normative Approach)

바람직한 중간집단의 역할이 무엇인지 대안적으로 제시하며, 한국의 경우에 조명한다.

 

연구 내용

 

1. 국가발전

1-1. 국가발전의 정의

1-2. 국가발전의 유형

1-3. 국가발전의 목표로서의 국가통합과 민주주의

2. 중간집단

2-1. 중간집단의 개념

2-2. 중간집단의 종류

2-3. 중간집단의 역할 및 유기적 상관관계

3. 국가발전에 있어서의 중간집단의 역할

3-1. 국가통합의 역할

3-2. 민주정치 토착화의 역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