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국민윤리-3-가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윤리학 정립과 발전에 관한 연구 - 개인과 국가: 가. 주체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
  • 영문 : -
연구책임자 조태훈(충북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6-01 ~ 1984-03-13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개인의 「자연」은 바로 동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인간성 즉 인간의 본성은 사회성을 뜻한다. 그러면서 인간은 개인적 삶의 역사, 자기동일성을 갖는데, 이것은 개인의 주체성·특수성을 의미한다. 인간은 개인적인 특수성으로 인해서 기존의 사회구조를 초월, 스스로의 자율성을 보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인간에 있어서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일면성만을 강조해온 인간이해를 비판적으로 포섭하면서 현대사회의 세분화·전문화 및 개성의 추구·종합하는 「구체적 보편인」-다양한 개성들의 조화로운 사회-의 상을 밝히고자 한다.

 논구의 중심은 「자아」 개념이며 그에 종속하는 주체성과 사회(국가)성을 구명하게 될 것이다.

 

연구 배경

 

① 근대적 인간이해는 궁극적 「실체」로서의 자아개념에 집중되었다. 그 「자아」는 독립적·절대적이며 따라서 고립된 「정신체」였다. 그것은 절대적 이성주의의 핵이거나 경험적 소여의 수용자였다. 사회와의 교호성을 배제시킨 오성적·추상적 인간규정이었다.

② 현대적 산업사회의 인간이해는 사회·역사적 법칙성에 의해 피조되는 수동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소외된」 인간상이 그 주류였다.

③ 이제, 인간의 주체적 측면, 즉 주체성의 의미와 형성과 역할 등이 구명되어야 하며 아울러 인간의 사회화에 대한 이론들, 사회구조 및 변동과 인간과의 관계, 국가와 개인의 관계, 그리고  「주체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통일적 맥락이 현대의 철학·심리학·사회학 등의 연구성과에 의거하여 정리되어야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에 의존하며 변증법·현상학·정신분석학 및 사회학과 교육학 등의 방법과 이론들을 원용한다.

 

연구 내용

 

① Descartes, Locke, Hume, Kant 등 근대의 대표적 철학들에 있어서의 인간의 「자아」 개념을 밝힌다. 즉 오성적 인간 규정의 한계를 해명한다.

② 동양적 사고유형에 있어서의 「인본」의 주체성·능동성의 논리를 드러낸다(전통적 사상).

③ 개인과 사회의 역동적 관련성(문화창조자로서의 인간과 문화적 피조물로서의 인간)을 개인적 주체, 사회적 집단, 문화적 환경 등에 의거하여 구명한다.

④ 이성주의와 관행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⑤ 주체성과 사회화 및 개체주의와 사회의식, 국가와 개인, 사실과 당위 등의 변증법적 연관운동을 밝힌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