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3-국민윤리-2-라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구범모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01 ~ 1987-03-30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기존의 국민윤리학 교재를 보완하고 개발하기 위한 연구계획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의 이념과 현실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국민윤리학의 체계화에 기여하고자 함.
연구 배경
국민윤리학의 체계화가 미흡한 이유도 국민생활 각 분야를 지배하는 생활원리나 정신적 규범이 정립되지 못했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각 분야가 그러한 규범을 모색하기 보다 백화점식인 분열적인 자기주장만을 되풀이하고 있기 때문임. 그 뜻에서 민주주의와 연관된 각 분야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광범한 자료가 참조될 것임.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주로 문헌분석 조사에 의존하되 경험적 조사 결과를 원용코자 함. 민주주의 이념 자체에 관한 연구에는 경험적 조사에 의거한 풍부한 자료들을 참조할 것이며, 한국 정치문화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에는 문헌조사와 경험적 연구결과의 원용을 병행할 것임.
연구 내용
우리에게 도입된 민주주의 이념은 고전적 민주주의 이념으로서 산업사회의 성숙에 따라 구미에서조차 변모하고 있는데도 우리는 고전적 민주이념만이 정통하다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있는 실정이고, 그 이념을 구현할 우리의 정치문화에 대한 검토가 전무한 실정임.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민주주의 이념 자체가 어떻게 변모하고 있고, 우리의 정치문화가 어떻게 구조적 변화를 하고 있는가를 검토코자 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