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3-교육윤리-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용헌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8-19 ~ 1985-06-18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초·중·고교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정치적 태도의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치교육, 또는 국민정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추출하고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방법의 개선 등에 필요한 중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국외에서 이루어진 정치사회화 및 정치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상당수 있으나 국내의 연구는 주로 이론적인 측면을 다룬 학위 논문들이다. 특히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실태연구는 그리 흔하지 않으며, 아직도 출발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인 자료는 다음과 같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 모형을 개발하고, 이론 모형에 따른 설문지 작성으로 현지 조사 연구를 실시한다. • 학생들의 정치에 대한 인지, 태도, 행동, 평가 등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Likert R을 활용하며, 가정, 학교, 수업 등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의미변별척도를 사용하여 질문서를 구성한다. • 질문서 문항은 연구자 및 연구 조교들이 제작하여 전문가들에게 검토를 의뢰한다.
연구 내용
한국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정치 및 제반 사회문제와 현상에 관한 태도의 특성, 그리고 그러한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환경적 요인으로서 가정환경, 학교 풍토, 교수방법, 정치 지식 정보원의 특성 및 그 영향력 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문제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정치현상에 대한 인지, 태도, 평가, 행동의 정치적 성향 차원간에는 일관성이 있는가? 둘째, 각급학교 수준별, 학년별, 학생들의 정치적 태도의 특성은 무엇이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환경, 학교풍토, 교육방법, 정치지식 정보원이 정치적 태도에 어더한 영향을 미치는가? 등 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