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정치경제-2-바
연구과제명
  • 국문 : 80년대의 국제적 변수에 관한 연구 - 바. 국제경제 질서와 한국경제
  • 영문 : -
연구책임자 권영훈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6-08 ~ 1983-11-30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국제경제 질서는 1970년대에 두 번이나 맞이한 오일쇼크로 인하여 새로운 정립단계에 도달하였다. 수출제일주의를 기반으로 한 한국경제는 변화하는 국제경제 질서에 대처하여 나아가면서 성장과 안정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국제경제 질서와 한국경제의 정책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한국경제는 브레톤우드 제도와 스미소니안 제도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던 마지막 단계 즉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해외지향적인 경제정책을 통하여 세계 경제의 일원으로 능동적인 참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브레톤우드 제도와 스미소니안 제도가 기능을 상실하고, 내부적으로는 고도성장의 부정적 측면이 양성화 되므로써 한국경제는 국내, 국외적 조건 변화로 인한 양면 공격을 받고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국제경제 질서 형성의 역사적 배경

2. 현존하는 국제경제 질서와 한국경제가 당면한 조건

3. 국제경제 질서와 한국경제의 경험적 및 실증적 분석 간에 유대관계에 관한 규명

4. 국제경제 질서의 재정립과 한국경제의 구조 개선 및 성장정책의 방향 정립

 

연구 내용

 

오늘날의 국제경제 질서는 18세기 말 영국을 시발점으로 하여 산업혁명 이후 정리한 역사적 진행과정을 통하여 주로 선진국 위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개발도상국들이 현존하는 국제경제 질서에 입각하여 개발정책을 수행하는 경우 부정적 영향과 효과도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제경제 질서의 재정립 가능성과 이에 생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국경제의 구조 개선의 가능성을 연구 내용과 가설로 선정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