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정치경제-2-마
연구과제명
  • 국문 : 80년대의 국제적 변수에 관한 연구 - 마. 북한의 비동맹 외교 (제3세계와 북한)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진위(연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6-08 ~ 1984-10-08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남북한 외교 대결과 자원 통상 외교와 관련하여 비동맹권 및 자원 보유 개발도상국 등 제3세계와의 이해 증진 및 유대 강화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과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북한의 제3세계 외교정책을 연구하여 한국의 대 제3세계 외교정책을 연구하여 한국의 대 제3세계 외교 정책에 기여함은 연구의 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배경

 

 한국에서 제3세계에 대한 연구는 1955년 반둥에서 개최된 「아시아·아프리카」 회의를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국제적으로 제3세계의 응징이 동서 대립의 양극 체제를 약화시키는 등 국제 세력 균형 체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1973년 석유파동과 자원 민족주의의 대두는 기존 국제 경제 질서를 위협하기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외에서 제3세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역사적·서술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을 복합적 내지는 보완적으로 한다.

 자료는 북한의 문헌을 주로 하여  제3세계에서 발행된 문헌 그리고 한국, 미국, 일본, 중공, 소련 등에서 출판된 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1. 북한의 제3세계에 대한 외교 정책의 목표

2. 북한의 외교정책의 목표와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서 이데올로기의 역할

3. 북한의 제3세계와의 관계에 있어서 외교전략과 전술

4. 북한의 대남전략 속에서의 제3세계와의 관계

5. 북한의 국내 정치·경제 문제와 제3세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