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3-정치경제-1-나-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도흥렬(충북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6-16 ~ 1984-10-08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남북한 통일에 관한 연구는 해방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에 걸쳐 다소 산발적으로 각종 형태의 연구 업적이 이루어져 왔다. 통일논의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업적 가운데 남북한 문화체제 면의 비교에 관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시기별로 관심의 초점과 연구 방향, 그리고 연구 내용을 분석·평감함으로써 앞으로의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통일이념 정립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 배경
문화체제 면에 관한 한, 남북한 비교의 관점에서 본 기존 연구 업적은 극히 제한된 영역에 머물고 있을 뿐 아니라 그것마저도 관주도형의 정책해설, 정보분석, 정책지향적 내용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서 다음과 같은 자료들을 검토한다. 1. 고려대 아세아문제 연구소, 「아세아연구」, 「공산권총서」, 「사회조사총서」 2. 국토통일원, 연구지(국토통일, 통일정책), 학술용역 보고서 3. 북한연구소, 「월간북한」, 「북한학보」, 북한총람, 및 기타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사회과학의 제 관점과 이론을 바탕으로 기존의 업적을 수집하고 2. 이를 시기별·내용별로 분류·분석하며 3. 남북문화체제가 지닌 제 문제점을 비교·검토하고 4. 통일이념정립의 관련문제를 발견하여 5.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연구방법 등을 제시한다.
연구 내용
1. 남북한 문화체제: 이념문화 · 행동문화 · 생활문화 · · · · 2. 남북한 전통문화 해체와 문화 변동 과정 3. 남북한 문화정책: 교육·언론·언어·문예·여가·종교 · · · 4. 남북한 문화체제와 의식구조 변화: 문화의 내면화 과정·사회적 성격·사회의식 5. 관념론적 이념과 사회학적 현실과의 관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