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3-사회민속-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전경수(서울대 조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26 ~ 1984-07-14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한국인의 사회생활에 가족·친족의 개념이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나, 그 개념의 근본, 영향의 구체적 표현에 대해서는 추상적 설명에 그치는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는 하나의 촌락 내에서만 친족의 활동을 분석하기 보다는 대조적 전통을 가진 두 씨족의 조직과 이들 친족조직이 사회·경제·의례 생활에 미치는 정도, 촌락과 도시 또는 지방행정 조직과를 연결시키는 네트워크로서의 역할 등을 비교연구함으로써 한국 친족조직의 사회적 활동과 역할의 제 측면을 사실적으로 밝혀보려 한다.
연구대상 지역은 경상북도 안동군 일대로 일대로 전통사회에 있어서의 양반 계층이었던 의성 김씨와 비양반 계층이었던 영양 천씨를 중심으로 이들 성씨가 형성하는 내부 및 외부세계와의 네트워크를 연구 배경으로 한다. 연구자료는 각 문중의 족보, 고문서 등과 census 조사 외에 집중적 현지조사를 주로 하며, 그 외 관련된 기존 연구 논문과 서적을 보조자료 삼는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집중적 현지조사를 주로 한다. 현지조사에는 census 조사, 면담을 통한 조사(interview), 같이 생활하면서 체험에서 자료를 얻는 방법(participation observation), network analysis,를 포함한다.
연구 내용
1. 문중의 역사, 파조직 및 지역적 분포 2. 각종 문중 모임, 문중회 및 활동사항(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을 모두 포함) 3. 친족의 각종 의례에 있어서의 역할 4. 친족과 사회경제 관계 5. 친족·마을·외부세계(도시 및 지방 행정 조직)와의 네트워크 두 대조적 전통을 가진 씨족을 위의 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