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3-예술-2-가-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안휘준(서울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16 ~ 1983-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방법
한국현대미술교육의 현황과 제반 문제점들을 파헤쳐 보고 그 대책이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우리의 미술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토록 유도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한국문화 창조의 기반을 다지는 데 이바지하고자 함.
연구 내용
한국현대미술교육을 새 문화창작인의 양성과 민족정신의 함양을 위해 그 의의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실상이나 개선대책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없어 왔음. 특히 대학에서의 미술교육은 이 방면의 인재와 교사양성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초·중·고의 미술교육은 물론 일반에게꺼지 널리 미치고 있다고 봄. 그러므로 대학에서의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해서 파헤쳐 보되 개설과목, 교과과정, 교육방법 등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대책을 모색해보고자 함.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교과목, 교과과정, 교과서 등의 분석에 토대를 둔 이론적 접근을 주로 할 것이나 그것으로 미흡하다고 여겨진 경우에는 질문서의 작성 및 조사도 실시할 예정임.
연구 내용
• 대학에서의 미술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되 필요한 경우 초·중·고의 미술교육도 고찰의 대상으로 삼을 것임. • 한국, 동양, 서양 미술교육의 비중을 비교해 볼 것임. 지금까지 서양미술을 위주로 교육해 왔기 때문에 국민들의 정서나 미감이 지나치게 서구 것을 좋아하고, 이것은 결국 전통문화의 계승과 외래문화의 주체적인 수용능력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여겨짐. •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의 균형유지의 여부를 확인해 볼 것임.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지나치게 실기에만 의존하고 정신적인 측면을 등한히 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차원의 미술창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