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3-예술-3-나-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도화(동국대 학예원)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01 ~ 1983-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1. 많은 자료가 있음에도 거의 연구되어 있지 못한 조선조 약사불화의를 새로운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조명함. 2. 조선조 약사불화의 양식과 사회사상적인 조성배경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전통적이고 대중적인 미양식의 기초연구와 이를 통한 국민정신의 함양과 순화에 그 목적이 있음.
연구 배경
1. 조선조 약사불화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전무함. 2. 조선조 약사불화는 많은 자료가 유존하여 있고, 이들 불화에는 조성 관계 기록인 화기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수집·정리하면 한국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임. 3. 수집·정리된 약사불화의 양식 및 조성배경을 분석 고찰하면 한국미술사 연구의 중요한 업적이 될 것은 물론 이를 통하여 국민정신 교육에도 이바지할 수 있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전국 사찰 및 박물관 등에 산재한 약사불화의 현장조사 2. 조사 불화의 형식 및 내용과 화기의 종합적 분석 3. 국내외의 기왕의 연구 성과와의 비교 검토 4. 인도·중국·서역·일본의 약사불화와의 비교고찰 5. 지방유파의 화풍 분석
연구 내용
1. 조선조 약사불화의 종합적 조사 및 연구 2. 주요 항목 (1) 조선조 약사불화 조성의 역사적 배경 (2) 약사불화의 사상적 배경 (3) 조선조 약사불화의 형식 및 내용 (4) 조선조 약사불화의 양식적 특징 (5) 화기분석을 통해 살펴 본 사회사적 고찰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