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3-예술-3-나-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유마리(국립박물관 학예연구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01 ~ 1983-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1. 아직까지 거의 연구되지 못한 조선조 아미타불화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함. 2. 조선조 아미타불화의 현상과 양식 및 조성배경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전통적이고 대중적인 미의식의 기초연구와 이를 통한 사상적인 배경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음.
연구 배경
1. 조선조 아미타불화를 집대성한 연구는 전무함. 2. 조선조 아미타불화는 수많은 자료가 남아있고, 이 불화에는 조성 관계 기록인 화기들이 반드시 있으므로 이들을 수집·정리하면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임. 3. 수집 정리된 아미타불화 양식 및 조성 배경을 분석·연구하면 한국미술사 연구의 업적이 될 것은 물론 이를 통하여 국민정신교육에도 이바지할 수 있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조선조 아미타불화의 조사 및 연구 2. 주요 항목 (1) 조선조 아미타불화의 역사적 조성배경 (2) 아미타불화의 사상적 배경 (3) 조선조 아미타불화의 형성 및 내용 (4) 아미타불화의 양식적 특징 (5) 화기분석을 통해 본 사회사적 고찰
연구 방법
1. 사찰 내지 박물관 소장 아미타불화의 현장조사 2. 조사된 불화의 내용과 화기의 종합적 분석 3. 국내외의 기왕의 연구 성과와 비교 고찰 4. 인도·서역·중국·일본 아미타불화와의 비교 고찰 5. 지방유파의 작품 분석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