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3-예술-3-가-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영호(단국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3-05-01 ~ 1983-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한국의 중·근세, 즉 고려와 조선시대의 불탑에 대하여 선대로부터 계보, 양식의 변화와 그 특징 등을 연구코자 한다. 특히, 선대의 일반 석탑으로부터 특수양식의 불탑이 발생하고 또한 그 나름대로의 계보가 이어지는 문제까지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우선 전체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되 기왕에 조사된 자료를 한국미술전집, 한국의 미 등의 저술에서 참고한다. 그러나 여기에 누락된, 그리고 부족한 제 자료는 연구자가 현지를 답사하여 실물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 정리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야외에 유존하는 불탑이므로 현지조사가 주된 연구방법이 된다. 그러나 문헌이나 지명 자료편 등에서 이 시대의 불탑을 선택하여 연구자료로 삼는 목록작성을 선행해야 되겠다. 다음 단계로 실물을 조사하고, 모든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므로써 결론을 얻게 되리라 믿는다.
연구 내용
불탑 중에서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신라대나 삼국기의 불탑과는 특이한 점이 많이 보일 것 같다. 이제가지는 대체적으로 고대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금번 중·세시대의 불탑이 연구되면서 새 자료와 새 사실이 기대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