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예술-1-나
연구과제명
  • 국문 : 대중매체에 의한 국민정신 교육실태의 분석평가 - 대중음악의 예술사회학적 연구: 한국대중음악의 예술사회학적 연구 - 한국대중가요의 가사를 중심으로 (사회학적 측면)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상회(연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5-15 ~ 1983-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대중문화 중 가장 일반화된 대중문화가 대중가요다. 그 뿐 아니라 한국의 대중문화는 대중가요가 주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대중가요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가요의 가사를 내용분석하여 시대별, 수용계층의 특성별 특징을 찾고 이를 사회구조적 변화의 인덱스(Index)로 삼으려는데 있다.

 

연구 배경

 

 대중가요는 결코 단순한 오락의 수단이나 개인적 감정의 일시적 발산 장치에 그치지 않는다. 민족적 정서와 감정이 시대적 배경조건과 함께 담겨 있는 연령, 교육정도, 성별, 직업 등의 특성에 따른 기초가 반영되어 있다. 이를 사회와 학적 방법으로 정리한다.

 한국에서는 처음 이루어지는 연구이기 때문에 한국의 연구 문헌은 없지만 외국 문헌은 많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내용분석의 방법(Content Analysis)

1. 지난 60년간의 대중가요를 수집하여 시대별, 형태별로 구별하고 가장 애창되었던 가요를 뽑는다.

2. 가사 내용 분석에 필요한 도구를 만든다.

3. 연구의 대상으로 뽑을 대중가요 가사를 분석한다.

 

연구 내용

 

 대중가요 중 가사에 국한하여 연구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