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어문-5-나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국어 실용문의 실태와 국어교육 - 나. 문법요소를 중심으로(대학생 레포트를 중심으로)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광호(국민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5-09 ~ 1983-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초·중·고등학교 국어교육 과정을 거친 대학생들의 현대국어 실용문(주로 연구보고서, report)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비논리적 표현을 올바로 고칠 수 있도록 그 기본이론을 점검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체적이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부적절한 접속어들의 나열로  문맥의미의 모순성 제거

2. 속격어미 '-의'가 반복되어 그 결과로 나타나는 문장의 부자연성 제거

3. 한 개의 명사구를 수식하는 말이 중복되어 의미 파악의 난해성 제거

4. 문장 길이의 적절성

 

연구 배경

 

 올바른 실용문을 쓸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정립하고 이 이론을 가능하면 실제의 국어교육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작문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성과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1), (2)와 같은 내용이 반드시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

(1) 국어의 문법 파악과 그 의미 및 용법상의 차이점을 정립해야 한다.

(2) 이와 같은 이론은 단편적 지식으로 제시되어서는 절대 안 되고 실제로 적용해서 글을 써보도록 해야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매주 일정량의 자료(대학생 report)를 가필, 정정, 교정하며 거기서 나타난 비논리성을 바탕으로 몇 개의 이론을 확립한다.

2. 일차로 검토된 자료는 다른 연구자에게 다시 검토하게 하며 그 논리성 여부를 재확인 한다.

3. 검토된 자료를 기초로 그 비용을 분류·분석한다. 이렇게 하며 나타난 문장의 모호성 및 문맥의  부적절성에 대한 이론을 확립한다.

4. 매월 제 3주 금요일에 이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타 연구자와 논의한다.

5. 자료 검토, 분류, 분석이 끝나면 연구 내용을 집필한다.

 

연구 내용 

 

Ⅰ. 연구 내용

(1) 적절한 어휘 사용 능력

(2) 동사 및 형용사의 어미

(3) 격조사(격어미)들의 올바른 사용 및 접속 어미들의 문법성 파악

(4) 문장길이의 몇 가지 문제

 

Ⅱ. 가설

대학생들의 글이 주로 그 의미를 모호하게 하는 요소가 (1) 용언 어미 사용의 부적절성, (2) 속격어미 '-의' 반복 포함, (3) 접속어 사용의 비속성, (4) 지나치게 문장을 길게 씀 등이 있다. 그것들을 논리적으로 기술하고 응용성을 제시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