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4-사회민속-1-아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근대·현대의 사회구조의 특질과 변동 (한국사회사대계 사회·민속편) - 아. 조선조 사회의 언로현상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상희(서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4-03-12 ~ 1987-06-15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조선조 언로 형성을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제도적 언로, 즉 사간부, 사헌부 또는 집현전이나 왕당(홍문관) 등의 역할이나 그 활동 내용, 그리고 그것들이 갖던 사회·정치적 제약 등을 살피고, 아울러 초야의 사림이나 유생들의 정치 행태를 알아봄으로써 조선조의 언로 형성이나 여론 현상을 규명코자 한다.

 

연구 배경

 

 본 연구에서는 본인의 논문에서 시도한 시각을 확대·심화시킴으로써 조선조 언로의 형성을 사회학이나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테두리에서 분석·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 연구를 주로 하되, 기존의 통계 자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재분석 활용한다.

 

연구 내용

 

1. 조선조의 정치이념: 민본사상, 왕도정치

2. 왕도정치에 있어서의 공론

3. 공론의 담당세력 및 사회·정치적 배경

4. 제도적 언로와 초야의 언로

5. 왕의 성격과 언로의 개폐상황

6. 조선조 언로의 본질과 그 한계

7. 언로 형성 과정의 개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