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4-국민윤리-14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정신교육 내용체계화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유완빈
공동연구자
  • 윤이흠 / 본원 /
  • 박병련 / 본원 /
  • 민준기 / 경희대학교 /
연구기간 1984-02-01 ~ 1984-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국민정신교육의 핵심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9대 덕목은 한갖 어떤 특정시대의 관념적인 사상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 아니고 민족의 역사가 진행해오는 동안 우리 민족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교훈적인 당위규범이다. 즉, 소용돌이치는 수난의 역사 속에서도  우리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국난에 부닥칠 때 마다 발휘되어온 9대 덕목과 같은 실천적 가치군에 힘입은 바 컸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9대 덕목이란 실천적 가치관과 가치집단이 창조되게 된 근원을 이론적 방법으로 체계화하여 국민정신교육에 이바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1. 국민정신교육의 핵심 가치군인 9대 덕목은 어떤 특정시대의 일시적 덕목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역사와 더불어 함께 해온 가치덕목이라는 인식은 국민정신교육의 현재적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배경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공동 협의 및 집중 작업을 통해 체제와 내용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각종 문헌 및 자료들을 이용하겠음.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문헌연구 및 연구자 협의회 개최

문헌연구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수행되어온 국민정신교육의 근원과 실제를 밝히고, 연구진의 공동 토론 및 집중 작업을 통하여 이론적인 심화와 정확성을 도모하고 필요한 인사의 지원과 의견을 수렴하도록 한다.

 

연구 내용

 

1. 역사적으로 본 9대 덕목의 개념

2. 역사의 현장에서 본 9대 덕목

3. 역사적으로 본 덕목 교육

4. 덕목의 가치관화, 행동화의 과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