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4-국민윤리-1-라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영철(고려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4-03-08 ~ 1985-11-20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해방 후 40년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변변한 윤리 사상사 하나 나오지 않았다. 이는 문화민족으로서의 수치라고 아니할 수 없다. 더구나 오늘날 도의가 타락하고 자칫 아노미 현상마저 엿보이는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우리 민족의 윤리사상을 정립하는 일은 시급하다. 그러한 작업의 일환으로서 한민족의 윤리사상은 역사적으로 고구하는데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1. 역사상 저명한 사상가들의 윤리사상에 대한 단편적 연구는 더러 있으나 체계적으로 서술된 한국 윤리 사상사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본 연구는 한국의 윤리 사상사를 어떠한 시각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다루어야 할 것인가에 주안점을 둘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국내외의 관계 문헌을 수집, 분류, 분석한다. 2. 자료 연구 민중들의 윤리의식을 파악할 수 있는 문건 및 자료(예, 계 또는 향약 등에 관한 절목)를 수집, 분류, 분석한다.
연구 내용
1. 본 연구는 특히 한민족의 최근세의 윤리 사상을 다루게 될 것이다. 2. 좁은 의미의 윤리 사상사의 테두리를 벗어나 시야를 넓혀 시대의 주된 사상적 과제와 그에 답하려는 사상가들의 노력을 가능한 한 생생하게 살핀다. 따라서 사회사상, 정치사상, 종교사상, 등의 관점이 필요에 따라서 채용될 것이다. 3. 고대, 중세, 근세, 현대라고 하는 형식적인 시대구분 속에 사상을 정태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피하고 전체로서의 흐름을 밝힌다. 따라서 전환기의 비중이 커질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