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4-국민윤리-1-나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충렬(고려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4-03-08 ~ 1985-06-18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과거 우리 사상사 상에 나타났던 윤리사상을 역사적으로 연구 정리하여 하나의 이론 체계를 세움으로써 국민윤리 교육의 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 배경
주로 고려시대의 유교사상의 역사적 흐름과 그의 발전 과정을 살피고, 그것을 다시 정치·사회 교육적 측면에서 실재와 의미를 찾아낸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배경은 「고려유학사」의 전반이 된다 하겠다. 그리고 그 주요자료는 고려사 및 고려시대의 문헌이 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 문헌 연구 • 자료분석 및 정리 • 학설 설정 (시대적 특징 구명) • 이론의 체계화 • 발표 및 토론 • 논문 작성
연구 내용
고려의 윤리사상은 먼저 유교와 토속신앙과의 대립갈등에서 시작하여, 중앙집권제를 형성하는데 제도적 뒷받침이 되고 관리양성을 위한 교육중심이 되었으며, 다음 순수학술화하여 학문적인 심도를 다지다가 성리학이 들어온 뒤에는 개인의 수양, 풍속의 정화 그리고 정신생활의 근본이 되었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