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4-교육윤리-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용헌(서울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4-01-01 ~ 1985-10-28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오늘날의 한국대학교육은 과거 어느 때보다 복잡한 문제들로 얽혀 있다. 그 문제점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생들의 가치관 내지는 의식 성향이며, 특히 일부 학생들의 좌경화 현상은 가장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 수가 없다. 비록 좌경화 현상이 일부 학생들에게 국한된 것이라고 하나 이것이 전체 대학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가 없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의식성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특히 대학의 좌경화 현상을 극복할 대책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배경
• 대학생 의식성향에 관한 각종 연구 • 대학생 대책에 관한 각종 정책 자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자료 연구, 면접, 협의회 등을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한다. • 대학생 의식성향과 좌경화 현상에 관련된 각종 서적, 연구보고서, 신문, 잡지, 정부간행물, 법원 판결문, 대학의 보고서 등을 수집·정리하여 이를 분석한다. • 조사 및 협의회: 좌경화 실태에 관한 학교·정부·사회기관 등의 대책 자료 수집과 동시에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수집된 자료와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전문학자, 수사기관, 법원, 문교부, 대학 당국의 관계자들로 구성되는 협의회를 개최한다.
연구 내용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해방 이후의 학생운동의 성격과 대학생의 의식성향은 어떻게 변천해왔으며 사회구조적 특성과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2) 대학생들의 의식성향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좌경화 현상의 실태는 어떠한가? 3) 문제 학생들에 대한 학교, 정부, 관련기관 등의 태도와 정책은 어떠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가? 4) 궁극적인 대학교육 정상화 방안은 무엇인가?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