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4-교육윤리-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교육사상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손인수(시립대 교수)
공동연구자
  • 박은목 / 대전대학교 /
  • 문형만 / 전남대학교 /
연구기간 1984-01-01 ~ 1984-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우리 민족문화의 자기인식을 위한 학적 연구로 한국학이라는 분야가 있다. 그러나 과학적 연구의 역사가 짧은 한국학은 아직도 분류사의 발달을 보지 못한 형편에 놓여있다. 바로 여기에 민족문화 각 문제 특수사 연구의 요청이 있는 것이다. 한국교육사상사대계도 이러한 요청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본 연구는 일제시대의 교육을 기점으로 하여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방법을 취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한국인들은 일제 식민지 하에서 그들의 교육을 통하여 점차 일본식의 사고방식이 내재화되어가는 과정에서 이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즉 애국적 정열을 고이 간직하는 반면에 그들의 표본을 모방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에 민족교육을 통하여 그들의 식민지 교육에 항쟁, 그것을 배제하고 어떻게 자주·독립을 지향하였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기본적으로 직접자료에 따라 정신사적인 면에 치중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역사적 현실 파악과 방법이 아니면 정확한 현실을 붙잡지 못하므로 역사적 해석방법과 문헌적 방법에 따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일제하의 우리 민족교육사상과 그 운동 - 그 사상적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채고가 성격

2. 한국민족주의의 교육사상과 저항적 민족교육 운동

3. 한국정신사의 이정표로서 국학연구의 대두

4. 종교교육의 이념과 사학정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