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4-사회민속-3
연구과제명
  • 국문 : 이산가족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송선희
공동연구자
  • 윤종주 / 서울여자대학교 /
  • 홍두승 / 서울대학교 /
  • 이문웅 / 서울대학교 /
  • 김광억 / 서울대학교 /
  • 이광규 / 서울대학교 /
연구기간 1984-02-02 ~ 1984-12-03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근대·현대사를 통해 우리 민족이 겪은 가장 큰 시련의 하나는 가족의 분산이었다. 여러 부류의 이산가족 중 6·25를 전후하여 생긴 이산가족은 그 규모로 보나 한국 현대사에 갖는 의의로 주요 일면이다.

 본 연구는 주로 6·25로 인해 생겨난 이산가족을 인류학적, 사회학적 시각에서 포괄적인 분석을 통해 이산가족의 생활상과 재회 이산가족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이산가족이 한국사회와 통일문제에 갖는 의의를 밝혀 내고자 한다.

 

연구 배경

 

 이산가족의 형성과정 및 분포는 이산가족 전반을 대상으로 하고,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서울과 그 주변 도시에 거주하는 이산가족 및 재회가족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이산가족 생활상 면에 있어서는 월남민의 집단 거주 지역을 집중조사한다.

 직접조사에서 얻어지는 자료 이외에 이산가족과 재회에 관련된 보고서, 책자, 신문기사, 화보, 문학작품, 비디오 테이프, 편지 등을 보조자료로 한다.

 KBS, 대한적십자사, 이북5도청, 이산가족 재회추진위원회 등의 긴밀한 협조를 얻고 이들 기관이 갖고있는 자료를 이용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조사연구를 주로 한다. 이산 및 재회가족의 집중적인 Interview 및 Case study, 월남민 집단촌의 현지조사, Life-history 수집, Survey 조사, 관련기관의 관계자료와의 Interview 등.

• KBS가 입력시킨 컴퓨터 자료를 일부 활용한다.

• 그외에 관련된 각종 보고서, 책자, 신문기사, 화보, 비디오 테이프 등을 분석한다.

 

연구 내용

 

1) 이산가족 형성의 역사적 배경

2) 이산가족의 분포

3) 이산가족의 생활상 (경제적 측면-생업 및 사회경제적 계층, 사회적 측면-가족생활과 사회생활, 종교적 측면, 교육적 측면, 민속적 측면, 가치관과 의식구조)

4) 재회 이산가족

가. 재회의 배경과 경과

나. 재회의 심리인류학적 분석

다. 재회가족의 재적응

결론: 이산가족이 통일과 한국사회에 갖는 의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