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4-사회민속-1-사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근대·현대의 사회구조의 특질과 변동 (한국사회사대계 사회·민속편) - 사. 해방이후의 청년운동
  • 영문 : -
연구책임자 유도진(경희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4-03-12 ~ 1985-11-20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해방이후의 청년운동을 고찰할 때 학생들이 대부분 그 주축세력으로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운동이 발생할 때마다 한국의 정치사회·문화적인 변화의 가속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는 있었으나 거시적인 관점, 특히 사회사적인 관점에서 접근된 바는 없다.

 그러기에 이 연구는 청년운동이 갖는 성격의 특수성을 사회사적인 관점에서 검토·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한국의 청년운동은 20세기 초를 출발점으로 하여 오늘에 이르기가지 간헐적이기는 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왔다. 해방 이후의 청년운동은 외형적으로는 그 내용이 전과 다른 것 같지만 사회사적인 배경에서는 그 이전과 유사한 맥락을 이어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초점을 두고 청년운동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자료는 문헌과 사회적 자료에 의존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문헌 및 경험적 접근

1) 기존 문헌을 사회학적 및 역사학적 관점에서 그 내용을 분류 검토하고 이론적인 틀을 구상

2) 기존의 사회적 자료를 종합하여 그 내용을 범주화 하고 이론적인 틀을 뒷받침 하는 자료로 사용한다.

 

연구 내용

 

 청년운동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한국사회 이론의 틀을 만들 수 있고 그것은 한국사회 분석의 유용한 준거틀로서 이용될 수 있고 한국의 사회사가 자리할 수 있는 기반이 놓이게 될 것이다.

a. 운동의 형태와 종류

b. 운동의 시기적 변천 과정

c. 자본주의 체제 현상으로서의 운동

d. 사회사적 내용의 맥락과 그 배경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a) 운동의 형태와 종류의 변화

b) 운동의 시기적 특수성과 내용의 변화

c) 운동의 사적 맥락을 찾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