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4-예술-3-나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보형(문화재관리국 문화재전문위원)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4-03-01 ~ 1984-12-31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일제시대 판소리인들의 활동상과 판소리의 전수형태를 조사하여 우리 예능문화에 큰 비중을 차지한 창우(倡優)들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고 그들이 일제시대 우리 전통음악문화를 이끌어 온 한국음악사의 일면을 규명하며 판소리인들의 전통적으로 행하던 음악교육방법론을 규명한다.
연구 배경
조선시대 나례를 담당한 창우의 연구를 위하여 일제시대 판소리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한 창우의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현행 판소리의 음악적 연구, 문헌적 연구 성과를 토대로 창우의 연희 문화 자료를 수집하여 한국음악사 및 한국연극사에서 창우 연구에 공헌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 일제시대까지 남았던 신청의 현지조사 및 자료 수집 • 일제시대 판소리 공연관계 문헌 수집 • 일제시대 활약했던 현존 판소리 명창들을 통하여 일제시대 판소리 공연활동 및 판소리 전수계보 전구 방법 등에 관한 대담조사 •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창우의 사회적 기능 연구. 일제시대 판소리 음악사를 정리함.
연구 내용
조선시대 민속예능을 담당하던 창우들이 일제시대라는 사회적 격변기에 판소리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한 한국음악사의 연구. 판소리 전수계보 조사 연구, 판소리 교육 방법의 연구를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