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4-어문-5-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재선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4-02-01 ~ 1984-12-31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정신사적 체계화의 일환으로서 해방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한국현대문학의 전반적인 분석과 해석을 통해서 우리 문학의 특수성이 갖는 정쳬를 밝혀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우리 문학이 지니고 있는 정신사적인 성격을 각별하게 배려하고자 하며, 우리 문학의 우리 문학다운 계승의 진로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배경
본 연구의 기본 대상은 1945 해방 이후의 문학이다. 그런데 해방이후의 문학에 대한 본격 연구는 현재깢지 별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몇몇 사람에 대한 부분적인 점검은 있었으나(김우종·김윤식·권영선), 그것은 매우 제한적인 것이었고, 특히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것은 거의 부재상태다. 자료로는 해방후 간행된 각종의 문예지 및 잡지, 신문이 총망라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그 자료 대상을 6·25 당시의 부산·대구 등지의 신문·잡지 등으로까지 확산시켜 살펴본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가) 정신사의 방법-문제사·이념사 등-과 역사주의 방법: 이론의 정립과 가설을 위해서 (나) 문학사회학적 방법: 이론화를 위해서 (다) 문헌 연구의 방법: 작품·잡지·신문·기타 참고 문헌의 조사와 분석 정리를 위해서 (라) 기타 해석학적 방법 등
연구 내용
(가) 연구의 대상은 1945년 해방 이후에서 1960년대 발에 이르기까지의 한국현대문학의 전장르를 포괄한다. (나) 철저한 문헌 연구를 통해서 문학의 시대적 성격을 밝혀낸다. (다) 특수한 역사성을 근거로 형성되고 있는 한국현대문화의 독자성을 한국현대문학의 현상해석에서 찾아낸다. (라) 고전이나 전통과의 맥락관계도 찾아내며, 우리 문화의 지향적인 방향을 모색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