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4-역사-5-가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신석기 문화 연구 - 토기·석기를 중심으로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정학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4-02-01 ~ 1984-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신석기 시대의 문화에 있어서 생활용구인 토기와 석기의 특징과 발전과정을 연구한다. 한국 신석기 시대의 문화는 후기에 이르러 농경문화가 시작되며, 토기와 석기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과정에 대하여 이때까지 연구가 충분히 되어 있지 못하였다.

 

연구 배경

 

 이 때까지 한국 선사시대에 있어서의 농경문화의 시작과 그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 있어서는 농경 문화의 시작에 따른 토기와 석기의 변화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동남아세아에 있어서의 농경 문화에 관한 자료를 많이 이용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고고학적 자료에 의하여 한국 신석기 시대의 문화, 특히 경제 발전 관계를 고찰한다.

2. 신석기 시대의 토기와  석기 연구

3. 농경 문화의 고찰, 토기와 석기의  변화를 연구한다.

 

연구 내용

 

 한국 선사시대에 있어서의 농경문화를 만주의 농경문화의 시작·발전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신석기 문화 및 청동기 시대의 문화를 간단히 살피고, 그것이 한반도에 전파된 과정을 연구한다. 이에는 토기 및 석기가 그 전파과정의 증거자료가 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