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5-예술-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최종민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5-04-03 ~ 1985-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인멸 위기에 있는 민속예술 자료를 채집하고 분석하여 한국 예술 연구의 기본 자료로 제공하고, 전체적인 체계와 기본 이론을 정립하여 연구 결과를 자료와 함께 발간한다. 음악은 민속음악 중 경북지방의 구전민요가 중심이 되고 미술은 시왕로, 감로왕탱, 산신로가 대상.
연구 배경
– 자료수집의 문제: 지금까지 개인 연구에 머물러 있던 이 방면의 실정 때문에 자료가 매우 영성하다. 또 개인들의 자료가 공개적으로 연구에 활용되고 있지 않다. – 체계화와 이론의 문제: 개인 연구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이론 수립의 근거를 찾아본 음악분야의 석사 논문 몇 편과 미술 분야의 석사논문 몇 편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민속음악을 경북지방의 구전 민요를 집중조사하고 민요 토리의 특성이 중부지역 창 민요와 같은 메나리 토리인가 아닌가를 밝혀 보고, 메나리 토리와 다른 토리의 지역적 분포도 밝혀낸다. 민속미술은 시왕로, 감로왕탱, 산신로의 표현양식의 특징과 내면세계의 문제를 함께 다룬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1) 민속음악자료조사(경북) 가. 영풍, 봉화, 영양, 울진, 안동 나. 문경, 김천, 예천, 상주, 의성 다. 선산, 군위, 칠곡, 성주, 고령 라. 영일, 청송, 영천, 대구, 영덕 마. 달성, 청도, 경산, 월산, 울릉 2) 민속미술조사연구 가. 시왕도 나. 감로왕탱 다. 조선시대 민화의 고찰(민화)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