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5-어문-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조동일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5-04-01 ~ 1985-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본 연구원 어문연구실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구비문학대계」 50권의 수록 설화, 민요, 무가의 분류 색인 방법 연구 및 실제 분류 색인 작업을 하여 체계적인 자료의 분류·정리가 되도록 한다.
연구 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설화는 연구책임자가 분류 시안을 작성하고, 대학 강사급(박사 과정 재학 이상) 4명이 실제 분류에 참가한다. 실제 분류를 하면서 분류 시안을 재검토하고 문제점을 보완한다. 민요와 무가의 분류도 설화의 경우와 같이 분류 시안을 담당 연구자가 작성하고, 공동 분류 작업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한다.
연구 내용
– 설화 분류: 설화의 서사구조 및 전개방식을 토대로 한 분류 시안을 마련한다. 이 시안은 '잘 되고 못 되는 사연', '속이고 속는 사연', '알고 모르는 사연', '있고 없는 사연'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설화 자료가 분류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분류 색인 작업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한다. – 민요 분류: 기능별 분류와 내용 및 주제별 분류를 하고, 문제점은 실제 자료의 분류를 통해 검증해서 보완한다. – 무가 분류: 굿의 종류나 진행방식 등을 참고해서 분류시안을 마련하고, 실제 자료의 분류를 통해 문제점을 보완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가. 설화분류색인 작성 나. 한국민요의 기능별, 내용별 분류(민요분류 색인 작성) 다. 한구 무가의 분류(무가분류 색인 작성)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