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5-역사-3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문서를 통해본 조선후기 사회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구복
공동연구자
  • 이수건 / 영남대학교 /
  • 이영훈 / 한신대학교 /
연구기간 1985-04-01 ~ 1985-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고문서는 과거에 현실적인 필요에 따라 직접 당대인들에 의해 작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제1차 사료이다. 이러한 1차 사료를 통한 역사연구는 당시 이런 자료가 크게 삭제, 축약된 2차 사료, 또는 국가에 의하여 편찬된 관찬사료 - 예를 들면 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등 - 를 통해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생생한 당시의 생활상을 추출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고문서를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바로 이 점에 있다.

 

연구 배경

 

 고문서에 관한 연구 성과로는 현재 4책이 나와 있지만, 입문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2책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들도 그 내용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것이 아니라 자료집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한편 본 연구원에서는 고문서의 수집·정리·발간이 수년전부터 진행되어 왔고 현재로서는 이들 자료를 구체적으로 종합·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은 본 연구원에서 나온 광산 김씨·오천문서를 1차 연구로 하여 경상북도 지방의 연구를 할 것이다. 그리고 부안김씨·해남운씨 고문서등이 연차적으로 연구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고문서 연구는 현재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므로 그 연구방법 또한 일차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고문서의 해독법에서 부터 그 사료의 내용 분석·정리·체계화 작업까지가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통하여 이뤄질 것이다. 앞으로 고문서의  연구 방법론이 수정·증보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원 자료실에서 앞으로 정리할 고문서 발간을 위하여 이를 체계화하는 방법도 강구해야할 것이다. 연구진들이 수시로 회합을 갖고 이를 종합할 것이며 또한 고문서에 쓰이는 용어의 해설까지도 겸하므로써 이를 사전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연구 내용

 

 고문서의 종류에 따라 당시대 연구의 변화, 친족 제도, 가족 구성, 노비의 소유 형태, 토지매매의 실상, 재산 상속의 실태, 일반 생활 및 민속 등을 살펴볼 수 있고 현존하는 고문서의 성격상 주로 조선후기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다. 즉 16세기로부터 19세기 말까지 한국 전통사회의 문화적 속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바 위와 같은 내용들이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하여 총정리되면 한국 중 세 사회문화의 실체·성격 등을 새로이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지방사 내지 하층 양반과 양반·노비들의 사회계층 간 유대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가. 고문서를 통해본 조선조 양반의식 - 광산김씨 오천고문서를 중심으로(문화사적인 고찰)

나. 경북지방 재지사족을 중심으로 - 경북지방 재지사을 중심으로(사회사적인 고찰)

다.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노비의 경제적 성격 (경제사적인 고찰)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