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5-역사-2
연구과제명
  • 국문 : 일본연구 - 고대 한·일 문화 관계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정학
공동연구자
  • 윤무병 / 충남대학교 /
  • 강인구 / 본원 /
  • 이기동 / 동국대학교 /
  • 신형석 / 이화여자대학교 /
  • 최종규 / 국립청주박물관 /
  • 김성구 / 부여박물관 /
  • 이혜구 / 본원 /
연구기간 1985-04-01 ~ 1985-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고대에 있어서 한일간에 문화적 정치적 관계가 대단히 깊었다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그 관계를 학문적으로 연구한 것은 대단히 적다. 이에 고고학, 역사학 및 예술사의 여러 분야에 걸쳐 한일관계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연구 배경

 

 고대 한일 관계사에 대하여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예컨대 "임나사"에 관한 연구 등 약간의 업적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본인의 입지에서 본 견해로서 우리로서 시정해야 할 것이 많이 있다. 그 뿐 아니라 본 연구계획과 같이 고고학, 역사학, 예술사에 걸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연구자료는 고고학적 문헌적 자료가 주가 되겠으나 될 수 있으면 일본  현지까지 가서 자료를 수집하겠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고고학적 연구에 있어서는 한국측 유적과 유물을 일본측 유적과 유물에 비교연구한다. 또한 가능하면 일본의 유적과 유물을 실지 답사 연구한다.

2. 문헌적 연구에 있어서는 한국측 자료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일본측 자료로는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속일본기(續日本紀),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기라를 이용한다.

3. 예술사적 연구에 있어서는 문헌기록과 아울러 미술품 및 악기 등을 자료로 한다.

 

연구 내용

 

1. 고고학상으로 본 한일 관계

가) B.C. 300 - A.D. 300 (야요이 시대)

나) A.D. 400 - 600 (고분 시대)

2. 역사학상으로 본 한일 관계

가) 백제와 일본

나) 가야와 일본

다) 신라·고구려와 일본

3. 예술상으로 본 한일 관계

가) 미술

나) 음악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