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5-철학종교-4
연구과제명
  • 국문 : 사상사대계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편)
  • 영문 : -
연구책임자 황성모
공동연구자
  • 곽신환 / 숭실대학교 /
  • 이기영 / 동국대학교 /
  • 진홍섭 / 본원 /
  • 문명대 / 동국대학교 /
  • 이혜구 / 본원 /
  • 최종민 / 본원 /
  • 이기문 / 서울대학교 /
  • 조동일 / 서울대학교 /
  • 김완진 / 서울대학교 /
  • 노태돈 / 서울대학교 /
  • 강인구 / 본원 /
  • 김상현 / 동국대학교 /
  • 김정학 / 본원 /
  • 김두진 / 국민대학교 /
  • 송기호 / 한림대학교 /
  • 신동하 / 동덕여자대학교 /
  • 류승국 / 본원 /
  • 김영태 / 동국대학교 /
  • 최신호 / 성심여자대학교 /
  • 송항룡 / 성균관대학교 /
연구기간 1985-04-03 ~ 1985-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를 총 정리하여 새로운 인문 정신의 사상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있다.

 

연구 배경

 

 5년에 걸친 계속 사업으로서 '85년도는 제2차년도(사상사대계 서설집필년도인 '83년 제외)에 해당한다.

 철학, 종교, 역사, 어학, 문학, 미술, 음악 등을 망라하여 모든 고전이나 근래에 발표된 학술 논문, 저술 등을 그 자료를 삼는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연구의 성격상 문헌 연구 방법을 채택한다.

 

연구 내용

 

 6부로 나누어 집필한다.

제1부 - 삼국시대의 역사와 사상

제2부 - 통일신라시대의 역사와 사상

제3부 - 삼국시대의 생활세계와 종교신앙

제4부 - 체계화된 철학 사상의 대두와 정신 문화

제5부 -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예술

제6부 - 어문학의 발전과 민족문화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세부 목차

 

가. 삼국시대의 역사와 사상

1) 고구려의 역사와 사상

2) 백제의 역사와 사상

3) 신라의 역사와 사상

4) 가야의 역사와 사상

 

나. 통일신라시대의 역사와 사상

1) 통일신라의 역사와 사상

2) 발해의 역사와 사상

3) 고대사상의 특성

 

다. 삼국시대의 생활세계와 종교신앙

2) 종교교섭사의 현실과 정신

3) 불교신앙의 전개양상과 생활세계

4) 도교신앙의 전개양상과 생활세계

5) 유교신앙의 전개양상과 생활세계

 

라. 체계화된 철학사상의 대두와 정신문화

2) 삼국시대 불교의 위대성과 창조성

 

마.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예술

1) 불교의 수용과 삼국시대 미술의 정신세계

2) 황금기의 불교문화와 이상적인 사실주의 미술

3) 고구려와 백제음악의 국제성

4) 신라(통일기 포함)의 음악문화

 

바. 어문학의 발전과 민족문화

1) 삼국시대의 언어 및 문자생활

2) 신라향가문학의 정신세계

3) 신라향가와 어학적 분석

4) 한문학의 도입과 정착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