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8-C17)
연구과제명
  • 국문 :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트랜스내셔널 탐구
  • 영문 : Transnational Approaches to the Oppert Incident
연구책임자 조현범
공동연구자
  • 최병욱 / 강원대학교 / 강사
  • 원재연 / 중앙대학교 / 강사
  • You Jae LEE / Tuebingen 대학교 / 교수
  • Pierre-Emmanuel ROUX / Paris Diderot 대학교 / 교수
  • Fraklin RAUSCH / Lander 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2018-04-04 ~ 2018-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18685월 충북 진천군 덕산읍 인근에서 발생한 남연군 분묘 도굴 미수 사건은 관련 해외 사료들이 아직 발굴되지 않아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미국, 독일, 프랑스, 중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을 수집하여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시작될 수 있도록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다. 당사국의 관련자들이 어떤 이해관계 속에서 행동하였는지를 트랜스내셔널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19세기 중엽 상해와 한반도 서해안을 포괄하는 해양과 연안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트랜스내셔널의 시각에서 오페르트 사건을 다루었다. 6개국 국민들이 관련되었기에 국제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영사재판의 쟁점도 공해상에서 이루어진 모의를 처벌할 수 있느냐는 문제였기 때문에 트랜스내셔널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내용은 주로 독일, 프랑스, 미국, 중국의 해외 사료와 국내 사료를 활용하여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총론: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재검토

2. 19세기 후반 서세동점 하의 상해 상황과 오페르트 사건의 동기

3.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조선 조정의 진상조사와 대응

4. 빈틈없는 사업가: 프레드릭 젠킨스와 오페르트 사건

5. 프랑스 외교관들과 덕산 굴총 사건

6. 에른스트 오페르트와 1868년 덕산 사건

연구결과

본 연구는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트랜스내셔널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의 국제적 상황과 결부지어 오페르트 일행의 남연구 분묘 도굴 모의, 실패, 귀환, 상해 조야의 논란, 영사재판 그리고 당사자들의 본국 귀환 등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국가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19세기 상해 상황과 서양인들의 동향 속에서 사건의 동기를 밝혔으며, 조선 측의 대응에 따른 상해 영사재판, 프랑스 외교관의 반응, 독일 귀환 이후 오페르트 행적 등이 상세하게 밝혀졌다.

참고문헌

강명숙 외, 서양인이 만든 근대 전기 한국 이미지 -침탈 그리고 전쟁, 청년사 2009.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近代韓國外交文書 2- 오페르트 사건·신미양요, 동북아역사재단, 2009.

김명호,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셔먼호 사건에서 신미양요까지-, 역사비평사, 2005.

김영자, 서울, 2의 고향; 유럽인의 눈에 비친 100년 전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1994.

김일권, 최석영, 정숭교,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 한국학 주제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노혜경, 오페르트(E. Oppert)의 조선 인식, 역사와 실학 55, 역사실학회, 2014.

박경하, 박재영, 전영준, 한국 역사 속의 문화적 다양성, 경진, 2016.

박시백,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인물 사전, 휴머니스트, 2015.

원재연, 오페르트의 조선항해와 내포 일대의 천주교 박해 -문호개방론과 관련하여-, 백제문화 29,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0.

유홍렬, 고종치하 서학수난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2.

윤소영, 박규수와 셰난도어호 사건-東津禦侮輯要를 통하여, 숙명한국사론 2,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사학과, 1996.

이희환, 이방인의 눈에 비친 제물포-인천개항사를 통해 본 식민근대-, 인천문화재단, 2011.

정혜경, 밥의 인문학 - 한국인의 역사, 문화, 정서와 함께해온 밥 이야기, 따비, 2015.

조성린, 조선500년 신통방통 고사통, 동서문화사, 2007.

조현범. 덕산사건과 프랑스 선교사 폐롱, 정신문화연구 40권 제3, 2017.

최병욱, 근대 중국 불평등조약 중의 기독교 관련 조항의 의미, 중국근현대사연구 37, 2008.

최병욱, 중국에서의 프랑스 保敎權의 기원과 성립, 명청사연구 22, 2004.

허영진, 대원군 집정기 Oppert사건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9.

 

中國第一歷史檔案館·福建師範大學歷史系 合編, 淸末敎案1-6, 北京:中華書局, 1996-2000.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編, 淸季中日韓關係史料 2,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82.

籌辦夷務始末(同治朝), 臺北: 國風出版社, 1963.

王鐵崖 編, 中外舊約章彙編 1-2, 北京: 三聯書店, 1957.

故宮博物院明淸檔案部·福建師範大學歷史系 合編, 淸季中外使領年表, 北京: 中華書局, 1985.

 

Bensacq-Tixier, Nicole, Dictionnaire du corps diplomatique et consulaire français en Chine : 1840-1911. Paris: Les Indes savantes, 2003.

Choe, Ching Young, The Rule of the Taewŏn’gun, 1864-1873: Restauration in Yi Korea. Cambridge (Mass.): East Asian Research Center, Harvard University, 1972.

Kenney, Charles S., The American Consul: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Consular Service 17761924, New Academia Publishing, 2015.

Ristelhueber, René, “Déboires et impertinences d’un ministre de France en Chine. Le comte de Lallemand à Pékin,” Revue d’histoire diplomatique 71, 1957, pp. 37-48.

Roux, Pierre-Emmanuel, La Croix, la baleine et le canon: La France face à la Corée au milieu du XIXesiècle, Paris : Cerf, 2012.

Scully, Eileen P., Bargaining with the State from Afar: American Citizenship in Treaty Port China, 18441942, 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Strand, Wilson, “Satanic Devils in the Hermit Kingdom,”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77, 2002, pp. 143-159.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세부과제2, 세부과제3, 세부과제4, 세부과제5, 세부과제6,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본 연구는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트랜스내셔널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의 국제적 상황과 결부지어 오페르트 일행의 남연군 분묘 도굴 모의, 실패, 귀환, 상해 조야의 논란, 영사재판 그리고 당사자들의 본국 귀환 등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서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연구 필요성, 19세기 중엽의 상해 상황과 서양인들의 동향에 대한 연구, 오페르트 사건에 발발한 직후 조선의 조정에서 지방 관아에 하달한 진상 조사 지시와 그 결과, 오페르트가 독일로 돌아간 뒤에 함부르크에서 열린 영사재판 진행과정, 파리외방전교회 조선 선교사로서 남연군 분묘 도굴의 실질적인 안내인 역할을 하였던 페롱에 대한 프랑스 외교관들의 평가, 젠킨스의 활동과 미국 외교관들의 인식 내용 등 여섯 가지 주제를 주요 연구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각각의 주제를 담당할 수 있는 최선의 연구자들로 연구진을 구성하였다.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1. 기존 연구 검토 및 트랜스내셔널 연구의 필요성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학계에서의 연구만이 아니라 오페르트 사건에 관한 2차 자료들(그리피스의 은자의 나라 한국 )의 생성 시점과 그 성격을 아울러서 기존 자료와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관점과 입장을 평가하고, 본 연구가 지향하는 국제적 공동 연구의 의의 및 트랜스내셔널 관점에서의 연구 가능성과 연구 결과의 생산성 등을 제시하였다.

세부과제2

2. 19세기 후반 서세동점 하의 상해 상황과 오페르트 사건의 동기

아편전쟁 이후 영국은 청나라와 불평등조약인 <남경조약>을 체결하고, 뒤이어 미국과 프랑스가 잇따라 <망하조약><황포조약>을 체결한다. 불평등조약의 산물인 5개항구의 개항으로 중국 상해는 광주(廣州)를 제치고 새롭게 열강들의 신 개항지로 떠오른다. 또한 모든 서양인들이 영사재판권을 획득함으로써 중국에서 치외법권의 특권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중국 내지(內地)로 안전하게 다닐 수 있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상해는 정치가, 모험가, 상인, 선교사 등 여러 유형의 서양인들의 집합 장소가 되었다. 그리고 그들 각자의 욕망이 꿈틀댄 곳이 상해였고, 1868년 오페르트 사건은 이들의 삐뚤어진 욕망이 분출된 대표적인 사건이었다. 이 글에서는 당시 상해에서의 열강의 모습과 다양한 서양인들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오페르트 사건이 어떻게 표출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사건에 대한 청 조정과 상해 포청의 대응과정을 살펴보았다.

세부과제3

3. 조선 조정의 진상 조사와 대응

오페르트 사건이 발발한 이후에 관련 지방 관아에서 조정에 올린 보고서와 조정의 대응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조선 조정의 진상 조사와 대응이 갖는 역사적 함의를 설명하고, 조선 조정이 어떤 관점에서 오페르트 일행의 소행을 인식하였는지를 연구하였다. 만남의 절차상 장벽(조선)과 파격(오페르트)으로 인해 상호 비극적인 파국을 초래한 사례였던 오페르트 사건이 이후 동아시아 사회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해명하였다.

세부과제4

4. 오페르트의 함부르크 영사 재판 경위와 결말

지금까지 오페르트 사건과 관련하여 오페르트가 어떤 처벌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알려진 바가 없었다. 막연하게 함부르크에서 영사 재판을 받고 짧은 기간 동안 구금 생활을 하였다는 정도의 정보만 보고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사료적 근거가 제시된 것은 아니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하여 오페르트의 유럽 귀환 이후 행적을 조사하고, 함부르크 영사 재판의 경위와 결말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이것은 오페르트 사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울러 오페르트가 나중에 가서 자신의 여행기를 간행하게 된 연유를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세부과제5

5. 페롱 신부의 행위에 대한 프랑스 외교관들의 반응

덕산 사건 전후 페롱 신부의 행위에 대한 중국 주재 프랑스 외교관들의 인식 내용 및 본국에 보고한 내용에 대해 살폈다. 19세기 초기 한불관계사를 주제로 한 연구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반면, 1866년에 일어난 병인양요와 1886년에 체결된 한불조약 사이 20년간을 다룬 기존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1868년에 발생한 오페르트 사건, 일명 덕산사건도 아직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그런데 진척되지 못한 연구 상황에 비해서 프랑스 측에는 관련 자료가 생각보다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프랑스 외무성 자료를 중심으로 한불관계사속의 덕산사건의 위상과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1860년대 상해에서 거주했던 서양인들의 조선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프랑스인 페롱(Stanislas Féron) 신부와 독일인 오페르트(Ernst Oppert) 그리고 미국인 젠킨스(Frederick Jenkins) 등이 함께 남연군묘를 도굴한 이유를 부분적으로 다시 밝혔다. 아울러 그 사건이후 청국 주재 프랑스 외교관들이 페롱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였으며 다른 서양 외교관들과 청국 예부(禮部)과의 교섭은 어떠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덕산사건이 조선의 국제관계와 다른 서구열강보다 늦게 체결된 한불조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하였다.

세부과제6

6. 프레데릭 젠킨스의 상해 영사 재판과 미국의 반응

본 연구에서는 선교사의 아들이면서 중국 주재 미국 영사의 통역가로 일했던 사업가 프레드릭 젠킨스와 미국 영사 조지 슈어드 및 관련 인사들 사이에서 오고갔던 서한 자료들을 통해서 오페르트 사건을 재조명하였다. 특히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그리고 경제, 정치, 종교 등 더 큰 맥락 속에서 오페르트 사건을 재구성하였다.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